오늘 알아볼 보조지표는 스토캐스틱(stochastics)에 대한 교육자료입니다.
보조지표는 어떤식으로든 캔들이 끝이나야 그 지표의 값이 정해지고 방향이 정해지는거라 스토캐스틱 역시
후행지표라고 부릅니다.
보통 하나의 스토캐스틱으로 사용을 많이도 하시지만 저 같은경우 3가지 스토캐스틱 설정으로
단기, 중기, 장기 이렇게 설정을 해두고 봅니다.
제 분석글을 보면 자주 보이는 요 아래 3놈이 그 스토캐스틱 설정이며
제일 위에서부터 (5,3,3) 중간에(10,6,6) 아래(20,12,12)세팅으로 진행방향을 예측할때 사용합니다.
스토캐스틱으로 정확한 매수 매도치를 측정한다기보다는 단기추세가 하방인지
중기 추세가 상방인지
장기 추세가 상방인지를 확인하기위해 설정을 해두고 제일처음 보는 화면중에 하나입니다.
단기, 중기, 장기 스토캐스틱이 모두 하방에 있을때는 과매도권이라보고 매수지역이라 판단하며
모두 상방에있을때는 과매수권이라보고 매도지역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이 지표는 후행성이고 방향만 보는 용도로 사용하지 이걸로 매도점을 잡기는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우선 위에는 현재시간 2019년 1월 2일 오후 4시경의 차트로서 위 차트의 스토캐스틱만 보고 분석을 해본다면
일봉의 단기 흐름은 하방이고
중기흐름은 중립
장기흐름은 약간꺽인 하방이다.
라고 이야기 드리며
현재의 일봉상 스토캐스틱만 본다면 매수매도받기에 적합하지 않다라고
판단을 내릴것입니다.
일봉 매매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 할겁니다.
4시간봉입니다.
4시간봉의 흐름은 모두 상방이니 아직 올라갈것이 더 많을것으로 보인다라고
예측을 할것이지만 동그라미 친것처럼 단기추세가 고점에 해당하니
약간의 조정이 있을수 있지만 많이 밀리지는 않을것이라는 이야기를 할수 있을것입니다.
이처럼 여기가 고점이다 아니라다라는 판단이 애매모호해지며 단기 추세가 상방인지 하방인지를
보기 위해 단기추세 중기추세 장기추세로 나누어서 보게 됩니다.
12월 29일 올려드린 이 차트에서 현재의 지점이
기존의 파동이랑 비슷한곳을 찾아서 알려드리면서
하방은 예상되지만 이전에 내려간 큰 하방은 일어나지 않을것이라는 이야기를 드렷습니다.
그때의 이유는 위는 1시간봉의 유사지점을 찾은것이지 4시간봉과 일봉의 흐름이 모두 상방을 향하고 있을때라
하방을 하더라도 약하락을 할것이라는것을 이야기 드렷으며
이후 큰 하락없이 현재의 자리를 지킨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만으로 고점과 저점을 파악을 할수는 없지만 그 흐름이 상방이냐 하방이냐를 예측할수 있으며
추세의 흐름을 판단할때 사용하기에는 유용하다고 보입니다.
댓글이나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힘이 됩니다.
<-- 블로그 이웃신청 하시면 분석글이 올라오자 마자 제일 빠르게 보실수 있습니다.
<-- 차트분석, 암호화페 정보, 잡담하는 제가 운영하는 오픈채팅방입니다.
비밀번호는 0000 입니다.